Surprise Me!

[팩트맨]항공기 안 떠서 날씨 예보 안 맞는다?

2020-05-14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난해와 올해 4월 유럽의 하늘 모습입니다. <br><br>왼쪽 노란빛으로 가득찬게 1년 전 유럽의 항공기 운항 상황인데. <br> <br>코로나19가 덮친 올해, 하늘길, 텅 비었죠. <br> <br>그런데 항공기가 안 뜨면서 기상청 날씨 예보가 잘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는데, 사실인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 <br>미국 기상청은 지난 일요일 플로리다주 남부, 날씨 예보에 실패했습니다. <br> <br>150㎜의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내다봤는데, 당일 강수량, 6.6㎜에 그친 건데요. <br> <br>단기 정확도가 90%가 넘는 미국에서 이례적이라는 말도 있는데, 일부 기상학자들, 예보가 빗나간 원인으로 항공기 운항 감소를 꼽았습니다. <br> <br>근거가 무엇인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우리가 알고 있는 민간 항공기에는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. <br> <br>항공기 동체에서 코처럼 튀어나온 기수 부분 안쪽을 볼까요. <br> <br>항공기 기상 레이더가 있는데요. <br> <br>운항 중에, 이 레이더로 기상 관측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항공기 운항 중, 레이더가 기체 주변 공기 덩어리를 관측하고 풍향, 풍속, 기온 등 정보를 모으는데요. <br> <br>비행기 자체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 뿐 아니라, 관측 기상 정보가 각국 기상청에 공유돼 기상 예보에도 활용돼 날아다니는 관측소로 불리는 겁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요. <br> <br>기상청도, 민간 항공사로부터 관측 정보를 받는데요. <br><br>1월, 약 2천 5백 개였던 항공 관측 정보. 3월에는 1천 4백 개로 크게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다만, 기상청은 항공기 관측 정보 감소가 기상 예보 정확도에 큰 영향을 끼치진 않는다고 말합니다. <br><br>[윤기한 / 기상청 사무관] <br>"관측 자료가 들어오더라도 다 사용하는 게 아니라 그중에 좋은 자료만 쓰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." <br><br>우리나라의 경우 인공위성, 지상 레이더 등 수많은 정보를 슈퍼컴퓨터로 취합해 날씨 예측하는데요. <br> <br>항공 자료 감소가 예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약 5% 정도로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사안 팩트맨으로 제보 부탁드립니다. <br><br>이상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 <br> <br>연출·편집:황진선 PD <br>구성: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한승희, 한정민, 박소연 디자이너 <br> <br>[팩트맨 제보 방법] <br>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

Buy Now on CodeCanyon